본문 바로가기

MCU8

NodeMCU - 두 개의 서보모터 wifi 제어 서보모터를 본격적으로 사용하려면 보통 한 개만으로는 부족하므로, 두 개의 서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 웹서버를 사용하므로 HTML이나 자바를 사용하는데, 이쪽 전문이 아니라서 방법을 알아내는데 좀 애를 먹었다. 어쨌거나 결국 두 개의 서보를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모터 4 개가 필요한 Otto 로봇에 두 개의 선만 연결하고 테스트 중. slider2.html Servo Control Page Servo 0 : 90 Servo 1 : 90 브라우저에서 열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된다. 소스코드도 앞서 하나의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경우와같은 맥락인데, 서보 모터 인스턴스를 두 개 정의하고, 웹으로부터 포지션 정보와 함께 서보 번호도 같이 가져 오는게 포인트가 되겠다. servo_web2... 2020. 3. 8.
NodeMCU - 서보모터 wifi 제어 NodeMCU는 역시 wifi이므로 이번에는 서보 모터 제어를 웹 상에서 해보기로 했다. 많이들 하는대로 NodeMCU로 웹서버를 만들고 웹페이지에 접속해 슬라이더를 사용해서 서보 모터의 각도를 제어하는 내용이다. 웹을 이용하는 방법에도 여러가지가 있는 것 같은데, 여기서는 역시 흔히 많이 사용하는 ajax 방식을 가져왔다. 먼저 html을 작성해 보았다. 기본적인 슬라이더를 사용하면 길이가 짦은 경향이 있는데, 각도 제어를 좀 더 세부적으로 할 수 있도록 길이를 충분히 키웠다. slider.html Servo Control Page Servo : 90 웹 브라우저에서 열어보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된다. 이 html은 아두이노 소스 속으로 코드화 된다. servo_web.ino #include #incl.. 2020. 3. 8.
NodeMCU - 서보 모터 제어를 위한 셋업 NodeMCU를 이용해서 최대 12 채널 짜리 서보 컨트롤러를 만들기로 했으니, 일단 아두이노 서보 라이브러리를 붙여서 잘되는지 확인해볼 차례가 되었다. NodeMCU의 자체의 상세한 내용은 몰라도 아두이노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면 서보제어를 할 수 있다고 한다. 서보 컨트롤러를 만들기 위해서 모터 연결을 위한 핀헤더를 단 보드를 만들었다. 일단 보드와 모터 전원은 분리하고 (그라운드만 연결) GPIO를 서보 컨트롤 단자에 직결한 간단한 구성이다. 모터 전원으로는 전류 특성이 좋은 별도의 충전지를 사용한다. 테스트 프로그램은 아두이노에서 작성하는데, 서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므로 이를 스케치에 포함시킨다. 사용한 테스트 코드는 다음과 같다. servo0.ino #include #define ND_D0 16 #.. 2020. 3. 8.
NodeMCU 설정 NodeMCU는 WIFI 기능의 장점 때문에 많이 쓰이는 보드이다. 이런 종류의 보드는 태생이 불분명한 여러 버전이 잔뜩있어 사람을 헷갈리게 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테면 별 생각없이 여러 개 구입했던 아래 사진의 NodeMCU도 얼핏보기엔 오리지날 NodeMCU랑 비슷해 보이지만 여러가지 다른 점이 많았다. 뒷면을 보면 LoLin new NodeMCU V3라고 되어있다. 그런데 이 버전은 PCB 폭이 넓어 일반 브레드보드에서 쓸 수가 없다. NodeMCU 오리지날은 브레드 보드에 끼우면 양쪽으로 핀을 끼울 공간이 생기는데, 이 보드는 그 공간까지 다 잡아먹어 버린다. 어쨌든 NodeMCU 자체는 USB 하나만 끼워넣고도 몇가지 기본적인 테스트는 해 볼 수 있다. 뭔가 확장기능이 필요하면 추가 기판을 사용.. 2020. 3.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