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App 개발/chordbreaker8 모드 스케일(Mode scale) 드디어 여기저기 잡고 물어봐도 제대로 이해한 사람을 찾기 힘들다는 모드 스케일을 다룰 시간이 되었다. 피타고라스 아저씨가 처음 서양 음계의 12 가지 음을 고르게 되는 것과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는 나중에 하기로 하고, 그동안 여러 자료와 강의 등을 통해 본인이 이해하고 있는 모드 스케일에 대한 내용을 우선 정리해봐야겠다. '학교 종이 땡땡땡' 때부터 배우기 시작했던 장조, 단조의 스케일은 일찌감치 우리들에게 익숙한 것이 되었다. 스케일은 수천 년에 걸친 서양 음악의 역사를 통해 계승되어 왔다. 그런데 서양 고전음악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이전부터 중세 교회 음악에는 다양한 스케일들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보통 교회 선법이라고 부르는데, 고대 그리스를 기원으로 해서 확장되었다고 한다. 현대.. 2022. 11. 9. 나란한 조 (Relative Key) 조마다 동일한 음을 공유하는 major - minor 세트가 있다. 기타에서는 같은 블럭 형태를 공유하므로 중요한 내용이다. 지판을 표시할 때 루트는 다르지만 나란한 조를 상단에 표시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간단하게 TextView를 추가하고 좀더 작은 크기의 폰트에 그레이 컬러로 표현하기로 했다. 나란한 조는 기본적인 Major와 minor scale에만 표시되고, Harmonic minor에서는 (음 구성이 변하므로) 표시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 같다. private void setTextRelativeKey(int key, int major) { TextView txtKey = findViewById(R.id.txt_rel_key); if (major == 0){ switch(key){ cas.. 2022. 11. 9. 자연/화성/가락 단음계(Natural/Harmonic/Melodic minor) private int currentKey = 0; private int majorMinor = 0; private Paint paint; private Bitmap bg; private Canvas canvas; 마이너 스케일도 정리했다. 마이너에서도 메이저에서처럼 조표없는 스케일이 만들어 진다. 첫번째로 정리하는 마이너는 natual minor(자연 단음계)이다. 장음계의 3-4음, 7-8음 사이가 반음인 것과는 달리, 자연 단음계는 2-3음, 5-6음 사이가 반음이다. 단음계는 슬프고 어두운 느낌을 표현한다. 기존의 데이터를 사용해서 변경해 쓰는 방법도 있을 것 같지만, 여기서는 그냥 메모리를 쓰기로 했다. 새로운 배열을 정의해서 단음계를 표시한다. 기존의 데이터에서 3음, 6음, 7음이 한 프렛씩 .. 2022. 10. 30. 올림 라장조(D# major)가 없는 이유는? 메이저 스케일을 표시하기 위해 전체를 정리해 보았다. Major 스케일은 가장 기본적인 스케일로, 3음과 4음 사이, 7음과 8음 사이가 반음이 되도록 음계를 나열한 것이다. 한 옥타브에 음이 12 개가 있으므로 조도 12개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여기에 올림, 내림이 들어가면서 필연적으로 겹치는 조들이 발생한다. 악보 상에서 조표도 다르고 음의 위치도 다르지만 조에 포함된 7음을 연주해보면 결국 똑같은 음이 나오는 조들이 있다. C# Major(올림 다장조)는 조표에 #이 7개나 붙어있는데, 이는 b이 5 개 붙은 Db Major(내림 라단조)와 완전히 같다. (악보 두 번째와 세 번째) 마찬가지로 D#=Eb, E#=F, E=Fb, F#=Gb,... 뭐 계속 이런 식이다. 대체 어떤 놈 어느 .. 2022. 10. 1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