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U8 고추 자동 물주기 프로젝트 완료 사무실에서 키우는 파프리카와 고추 새싹을 위한 자동 물주기 프로젝트가 완성되었다. 아두이노 모터 펌프 2 개를 사용해서 화분에 하나씩 배당했다. NodeMCU를 사용했고 제어용 보드는 만능 기판을 사용했다. 3 개의 소형 MOSFET이 모터와 LED on/off를 담당한다. 알리에서 구입해 두었던 관수 자재를 사용하였다. 시간에 맞춰 동작하므로 시계 기능이 필요했는데, 아얘 시계를 만들어 붙였다. 시간 값은 내부에서 만드는 것이 아니고 WiFi 기반으로 네트워크 서비스(NTS)를 이용한다. 기구는 모두 fusion360으로 설계해서 3D 프린팅 하였다. 디자인까지 세심히 설계할 능력이 없어서 보기에는 좀 그렇다. 고추 싹을 위해서 저출력의 식물등을 LED로 만들어 붙였다. 구부러지는 관은 탁상용 소형 L.. 2022. 10. 12. MOSFET로 워터펌프 구동 테스트 및 제어 보드 조립 20200314 MOSFET로 워터펌프 구동 테스트 및 제어 보드 조립 워터펌프가 쓸만 한 듯하여 이것으로 wifi로 화분 물주기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로 했다. 워터펌프는 NodeMCU로 구동할 예정인데, 드라이버로는 MOSFET을 사용하기로 했다. MOSFET은 그냥 방에 부품 통에서 굴러다니는 것을 사용하기로 했는데, IRLML2502이라는 N-MOSFET이다. SMD 칩이라 아주 작지만, 최대 구동 전류는 4A이다. 간단하게 회로를 꾸민 후 +3.3V와 GND를 게이트에 가하여 모터의 동작을 확인했는데, 일단 별문제 없이 동작했다. 어짜피 NodeMCU를 사용하므로, 이전에 만들었던 wifi로 LED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조금 수정해서 모터 동작을 확인했다. 실제에서는 위의 회로를 두 벌 만들고 No.. 2020. 3. 26. 미니 워터펌프 모터 전류 측정 20200312 미니 워터펌프 모터 전류 측정 미니 워터 펌프를 구매했다. 모터가 물통에서 굴러다니지 않도록 간단히 고정할 수있는 부품을 출력해서 모터를 설치했다. 제어보드를 만들기 전에 전류 소요량을 측정해보기로 했다. 전원으로는 5V를 사용할 예정이다. 각각 240mA, 170mA이 나왔다. 예상 외로 전류량이 높고 두 모터 사이에 차이가 있어서 살짝 당황했다. 이렇게 들쑥날쑥이라는 것은 저가의 물건이라는 증거 2020. 3. 16. NodeMCU - 10 개의 서보모터 wifi 제어 원래의 목표는 아두이노 서보 라이브러리에서 지원하는 12 개를 모두 NodeMCU에서 구현하려던 것이었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NodeMCU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출력 GPIO 수가 애매한 11 개인지라, 그냥 딱 잘라 10 개로 만들기로 했다. 8 개의 서보가 들어가는 거북이 로봇으로 테스트 이미 두 개의 서보를 운용하는 방법을 알았으므로 숫자를 늘리는 것은 쉬운 일이었다. 여기서는 웹 페이지를 좀 쓰기 좋게 table을 적용해서 슬라이더를 배열한 것이 포인트라고 하겠다. 10 개의 서보를 제어하므로 html의 길이도 길어졌다. 이 내용은 아두이노 코드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slider10.html Servo Control Page Servo 0 : 90 Servo 1 : 90 Servo 2 : 90 S.. 2020. 3. 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