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Dual D Flip-Flop인 CD4013에서 Attack, Release Time을 조정하는 가변저항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테스트 해보기로 했다.
붉은색 신호가 CD4013의 Set 입력 신호이고, 노란색 신호는 출력 Q의 신호이다.
전압값만 조금 다르고 타이밍은 같으므로 정상이다.
다음으로는 Gated 모드에서 Manual Gate 푸쉬버튼을 눌렀을 때 가변저항의 신호가 합쳐지는 부분(X82)에서의 파형 변화를 확인해 보기로 했다.
대충 회로를 파악해보자면, 우선 입력된 펄스는 가변저항 R227을 지나 C73 캐패시터를 충전시킬 것이다. 충전이 되는 속도는 가변 저항값이 작으면 빠르고, 크면 느릴 것이다. Range 스위치 S1은 여분의 캐패시터 C72를 병렬로 연결시켜 캐패시터의 용량을 더 크게 한다,따라서 충전되는 속도는 더욱 느려지게 된다.
입력이 끊어지면 이번에는 반대로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가 Release 가변저항 R230과 다이오드 D11을 타고 방전이 된다. 따라서 전압은 서서히 낮아진다.
캐패시터에는 병렬로 제너다이오드 z1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다이오드는 캐패시터의 전압을 9.1V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저항값이 큰 경우는 너무 길게 늘어져서 캡춰를 하지못했다. 아무튼 여기까지는 잘 동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는 한쪽 귀퉁이에 있는 트랜지스터 회로를 이해해 보기로 했다.
Triggered 모드에서는 출력이 끊겨 아무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Gated 모드에서는 펄스가 입력이 되면 Q12가 On 될 것이므로,
컬렉터의 전압이 0이 되고, 쭈욱 따라 올라가면 CD4013의 Reset 입력도 0이 된다.
펄스가 없으면 Q12는 OFF이므로 Reset입력은 1이 된다. 리셋은 Flip-Flop 출력을 0으로 만들게 되므로, 결국 이 회로는 펄스가 없는 구간에서 CD4013의 출력을 0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회로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면 위쪽의 펄스 출력도 제대로 되지 않았을 것이므로 이 부분은 따로 확인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마지막으로 OP 앰프 부분이다.
그런데 OP 앰프는 별로 아는게 없어서 뭐라 할 말이 없다.
일단 U22-B 부분은 그냥 버퍼인것 같고, U22-C 부분은 위의 트랜지스터와 유사하게 입력이 없을 때 CD4013의 Reset을 잡아주는 것 같다. 문제는 U22-D이다. 이것은 그냥 출력전압을 살짝 밀어서 변환해 주는게 아닐까?
아, 그러고 보니 출력이 +,- 5V로 되어 있다. 앞에서 들어온 9V 파형을 +- 5V로 만들어 주는 녀석인 것 같다.
마지막으로 U22-D의 출력이 +-5V 범위에서 AR 파형을 출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출력이 처음에 안되었던 이유는 땜에 브릿지가 생겨 12번 핀이 그라운드에 쇼트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와, 이렇게해서 일단 AR은 기본 동작을 확인 완료했다.
'아날로그 신스 제작 > 아날로그 신스 DI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스 DIY - AR(Attack Release Envelope Generator) 테스트 - Trigger In 부분 (1) | 2025.06.23 |
---|---|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자작 시작 (1) | 2025.06.23 |
구형 오실로스코우프의 매력? (0) | 2025.06.23 |